2007년 10월 4일 목요일

생각이란 무엇인가?

"생각이란 무엇인가?" 아! 이것도 좀 철학적인 혹은 심리학적인 질문이다. 앞에서도 잠깐 언급한 것처럼, 생각이란 ‘뇌의 작용을 통해 머리 속에서 일어나는 그림(Image)’이다. 인간은 자기 머리 속이나 마음 속에 일어나는 느낌이나 생각의 그림을 다른 사람들에게 배운 ‘소리약속(문장 이나 단어)’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한다. 상대방 역시, 상대방의 입에서 내 뱉어지는 ‘소리약속’을 귀로 듣고 동시에 자기의 머리 속이나 마음 속에 상대방이 원하는 ‘느낌이나 생각의 그림(Image)’을 그린다. 만약 그 그림의 어느 부분이 잘 그려지지 않으면 “무엇이라고 말 했습니까?” 혹은 “이 부분을 좀 다시 말해 주시겠어요?”하고 다시 물으면서 그림을 완성시킨다. 혹은 상대방이 불필요하게 너무 많은 단어를 주절 주절 내 밷으면 자동으로 삭제시킨다. 그러면서 핵심적인 그림만을 머리 속에 그려간다. 이것을 ‘생각’이라고 한다. 때문에 말을 잘 배우려면 물리적으로 소리를 듣고 말하는 기술도 중요하지만, 추상적으로 들은 소리를 재구성해서 머리 속에 ‘그림(Image)’을 그리는 기술이 더 중요하다. 소리는 단지 느낌이나 생각을 전달하는 수단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한국말에도 이런 경우가 있다.
1번의 “뭐라고?”는 화가 나서 내 뱉는 소리다. 2번은 잘못 들어서 다시 묻는 소리다. 3번은 의문문이다. 4번은 우끼지 말라는 핀잔의 소리다. 한 단어를 가지고도 얼마든지 다른 느낌이나 생각의 그림을 전달할 수 있다. 미국말도 마찬가지다. 어디 인간이 하는 일이 크게 다를 바가 없지 않는가! 한국사람들이 미국말을 배울 때 가장 겁먹는 것 이유는 마치 미국사람들은 우리와 완전히 다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편견 때문이다. 미국사람도 사람이다. 내가 똑같이 느끼는 것을 그 사람들도 똑같이 느끼고, 내가 똑같이 표현하는 것을 그들도 똑같이 표현한다. 내가 똑같이 머리 속이나 마음 속에 느끼고 그리는 것을 똑같이 느끼고 그린다. 단지 그것을 표현하는 ‘소리약속’이 다를 뿐이다. 한국사람들은 바늘에 찔려 아프면 “아이고!”라는 소리약속을 쓴다. 하지만 미국사람은 “Ah” 혹은 “Ouch” 혹은 “O my God!” 이라는 소리약속을 쓴다. 단지 소리약속만 다르지 바늘에 찔려서 아프고 짜증나고 화나는 것은 똑같다. 만약 당신이 미국사람과 대화한다면, “아이고!”하지 말고 단지 “Ah” 혹은 “Ouch” 혹은 “Oh my God!” 이라는 소리약속을 쓰면 된다. 위에서 예로 들었던 “뭐라고?”라는 표현도 같다. 아마도 미국사람이라면 이렇게 쓸 것이다.
물론 의미는 같다! 1번의 “What?”은 화가 나서 내 뱉는 소리다. 2번은 잘못 들어서 다시 묻는 소리다. 3번은 의문문이다. 4번은 우끼지 말라는 핀잔의 소리다. 즉, 단어를 하나도 놓치지 않고 들었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몇 단어 못 들었다고 해도 상대방의 느낌과 생각의 그림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자! 정리해 보자. 말(소리약속)이란 생각을 주고받는 도구이고, 생각이란 머리 속이나 마음 속에 있는 그림이다.

댓글 없음: